자연, 우리 세대에서 끝장낼 셈인가
  • ()
  • 승인 1997.01.23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리산이 멍들고 있다는 기사[제375·376호]는 내 가슴을 아프게 했다. 시골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강과 산에서 보낸 나는 자연이 개발이라는 이름 아래 무참히 짓밟히는 모습을 보면서, 돈 때문에 사람의 생명까지 경시하는 우리 사회의 현주소를 떠올렸다. 물론 먹고 살기 위해서는 자연도 개발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자연을 일방적으로 이용하고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자연 자체를 즐기고 거기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무한한 가치를 지닌 자연은 후손에게 그대로 물려 주어야 한다.

서종성 (광주시 서구 상무2동)

지리산을 오를 때 본 무수한 쓰레기는 자연이 원래 깨끗하고 자기 정화력을 가진 자립적 존재라는 사실을 잊게 했다. 앞으로 어린이들은 ‘자연’이 아니라 ‘타연’으로 인식할지도 모른다. 누가 닦아주고 먹여주고 입혀주어야만 제 구실을 하는, 사람으로 치자면 장애인처럼 말이다. 우리 사회는 장애인을 차별하고 제대로 대접하지 않는 것처럼 자연에 대해서도 똑같이 대접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은 선천적인 못난이가 아니다. 우리가 그렇게 만들었을 뿐이다. 누구도 자연을 지켜주지 않는다. 우리 자신의 손으로 지켜야 한다.

최은오 (전북 전주시 효자동 7가)

우리도 떳떳이 ‘NO’라고 말하자

미국에 대해 ‘NO라고 말할 수 있는 중국’ 기사[제375·376호]를 읽으니, 중국과 우리나라가 미국을 대하는 자세를 비교하게 된다. 우리는 늘 우수한 문화 민족이라고 외치고 자주 국방을 강조하지만, 경제·문화·국방 등 많은 부분에서 주체성 없이 무의식적으로 미국에 종속되고 의존해 왔다. 이런 자세로 어떻게 우수한 우리 문화와 고유의 정신을 보존하고 우리 힘으로 통일을 이룩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지금 전사회적으로 강조되는 일류 국가 건설을 위해서는 미국에게 언제까지나 복종하고 종속되기보다 주체적인 잣대를 가지고 우리 것을 지키고 사랑하는 데에 국민의 힘을 합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박창호 (부산시 수영구 망미2동)

한국 축구, 이대로 물러설 수 없다

지난 12월16일 밤, 텔레비전을 보던 나는 눈을 감고 말았다. 6 대 2!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내가 보기에 한국팀은 현재 최고의 선수들로 구성되었고, 사령탑도 명승부사 박종환 감독이었는데, 아무리 보아도 한국 축구가 아니었다. 차라리 잘됐구나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평소 텅 빈 축구 경기장, 거친 플레이, 선수들의 스타 의식 등은 이미 알고 있던 일이다. 그래도 실력이 있으니 그럴 수도 있겠다는 것이 내 생각이었는데, 그게 아니었다. 현재 우리 모습으로는 월드컵을 열 수 없다는 것을 이번 경기를 통해 절실히 느꼈다. 2002년까지는 5년 남짓 남았다. 중·고교 축구 선수들에게 지금과 전혀 다른 환경을 만들어 주자. 좀더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투자하고, 키워내는 축구를 하자. 일본은 이미 그렇게 앞서 나가고 있지 않은가. 강석진 교수 말대로[제375·376호] 이대로 물러설 수는 없다.

이종준 (부산시 중구 부평동 4가)유권자 뜻 무시한 당적 옮기기

이래서야 되겠는가. 몇 살 먹은 어린이도 아닌데 국회의원들이 소신 없이 오늘은 이 당, 내일은 저 당으로 옮겨다니니[제375·376호] 참으로 통탄할 노릇이다. 이렇게 소신도 줏대도 없는 사람들이 어떻게 국민을 대표하겠는가. 국민이 야당으로 나온 그들에게 표를 주었을 때는 개인적 인격에 반해서라기보다 여당의 독주를 막기 위해 야당의 견제력을 키워주자는 뜻이 아니었던가. 선거 때 유권자 손을 잡고 열 번 백 번 절하던 그들은 어디로 가고, 이제 당선이 되었다고 자기를 지지해준 국민의 의도를 내팽개치고 약속을 저버린단 말인가. 건의하고 싶다. 당선되고 나서 당을 옮기는 경우 자동으로 의원 직을 박탈하는 법을 만들면 절대 이같은 일은 생기지 않으리라 본다.

이용찬 (대구시 달성군 논공면 삼리)

한자어 찾기보다 법 형평성을 고민했어야

전·노씨 재판 판결문에 대한 김진석 교수의 글[제375·376호]을 읽고 나의 생각과 일치한다고 느꼈다. 이번 재판부의 판결은 매우 유감이다. 전·노씨를 비롯해서 피고인 대부분의 형량을 낮추면서 어려운 한자어를 남발한 것은 국민을 기만하고 우롱하는 처사로밖에 생각되지 않는다. 과연 권력과 거리가 먼 일반 국민이 그들처럼 수많은 사람을 살상하였다고 해도 재판부는 이처럼 어려운 한자를 써가며 관용을 베풀 수 있을 것인가. 사법부는 정치적 판단을 하라는 곳이 아니다. 모든 죄인을 형평에 맞춰 법대로 판결할 때만이 ‘만인은 법 앞에 평등하다’는 명제를 국민들이 인정할 것이다.

이정환 (충남 서천군 비인면 장포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