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액 자산가들 “정부 압박해도 부동산 안 판다”
  • 이석 기자 (ls@sisajournal.com)
  • 승인 2018.02.20 17:43
  • 호수 147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향후 실물경기나 부동산시장에 대해 긍정적 시각 많아

 

정부가 예고한 신DTI 규제가 올해 도입되는 만큼 부동산시장 변화에도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대출 규제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금리 인상 등으로 부동산시장에 경고등이 켜진 상황에서 정부가 다주택자의 돈줄을 죄기 위한 추가 제재 계획을 밝혔기 때문이다. 지금 집을 팔아야 할지, 세금을 물더라도 좀 더 관망하는 게 좋을지 고민이 생기기 마련이다.

 

고액 자산가들 중 상당수는 “당분간 자산 리밸런싱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KEB하나은행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2018 Korean Wealth Report’에 따르면, 고액 자산가들 중 40%는 “정부 규제로 국내 부동산 경기가 향후 5년간 정체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나머지 60%는 “완만하게 침체되거나 회복될 것”이라고 답했다. 전반적으로 향후 실물경기나 부동산시장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이 대부분이었다. 때문에 “현재의 자산 구성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동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처분하겠다”는 응답 비중은 20.2%에 불과했다. 향후 유망한 투자용 부동산으로는 재건축 아파트(27.7%)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17년 9월8일 서울 송파구 문정동 래미안갤러리에 문을 연 개포시영 재건축 아파트 ‘래미안 강남포레스트’ 견본주택을 찾은 시민들이 단지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정부의 계속된 압박에도 불구하고 주요 건설사들이 올해 분양 물량을 크게 늘려 잡은 것도 이 때문이다. 매일경제신문이 부동산정보업체인 닥터아파트와 함께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를 조사한 결과, 올해 공급되는 일반분양 물량은 28만1567가구로 작년(21만387가구)보다 34% 많다. 특히 올해 예정된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일반분양 물량은 4만9339가구로 전체 일반분양 물량의 17.5%를 차지한다. 실수요자들에게는 오히려 지금이 내 집 마련의 기회가 될 수도 있는 셈이다.

 

한국 ‘부의 지도’가 점차 바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전통적인 부촌은 그동안 강남구 압구정동과 대치동, 청담동 등 강남권과 서초구 반포동, 용산구 한남동, 성북구 성북동, 종로구 평창동 등이 꼽혔다. KB국민은행이 최근 자산 10억원 이상 부유층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도 비슷했다. 이들 지역이 대부분 선호도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했다. 신한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와 강북의 사교육비 차이는 1.4배까지 벌어졌다. 영유아의 경우 사교육비가 두 배 가까이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향후 5년 내 부촌에 대한 인식은 달랐다. 기존의 부촌을 꼽는 비중은 점점 감소한 반면, 서초구 반포동과 송파구 잠실동을 꼽는 이들이 크게 늘어났다. 서정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한국 부자에게 부동산은 단순히 거주하는 곳이 아니다. 적극적으로 수익을 실현하기 위한 수익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이들의 인식 변화에 따라 부동산시장 역시 지각변동이 올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