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세월호 막으려면 부처 간 경쟁 말고 전문가 중심 협력해야”
  • 조해수 기자 (chs900@sisajournal.com)
  • 승인 2017.04.03 15:50
  • 호수 143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세월호 미수습자 유해발굴단 자문 맡은 박선주 교수

 

인양 과정에서 미수습자의 유해가 유실됐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목포 신항에 접안해 세월호 선체를 육지로 옮길 때 추가 유실이 우려된다. 무게가 많이 나가다 보니까 육지 거치를 하는 동안 충격에 의해서 유해가 흩어지거나 부서질 수 있다.

 

 

향후 절차는 어떻게 되나.

 

소독부터 하고 안전점검을 한 뒤 수색작업에 들어간다. 배 안에 어떤 위험이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조사단이 바로 들어가면 안 되고 일단 안전장치부터 마련해야 한다.

 

 

미수습자 수습에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나.

 

미수습자 9명의 침몰 당시 위치를 파악했다고 하지만 추정은 추정일 뿐이다. 일단 해수부에서는 전 객실을 다 조사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이 경우 해수부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세 달 정도 걸린다고 보고 있다. 선창에는 두 달 정도 걸릴 것이다. 자동차에 운전기사와 함께 들어온 사람들이 혹시 있을지도 모르니까 그런 분들까지 전부 조사하면 네다섯 달 정도 걸릴 것으로 생각한다.

 

박선주 충북대 명예교수 © 연합뉴스

해수부가 너무 급하게 서두르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먼저 철저한 조사가 진행돼야 한다. 유해가 어떤 상태로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다. 유해가 연조직은 없어지고 뼈만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크다. 내시경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로봇을 넣거나 아니면 전문가가 직접 들어가든지 해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절대 서둘러서는 안 된다.

 

 

해수부는 세월호의 객실 구역을 절단해 직립시켜 미수습자를 수습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객실 직립 방식은 부정적으로 (해수부에) 얘기했다. 유해들이 물기를 머금은 뻘과 함께 밑에 깔려 있는데 90도로 세워버리면 바닥으로 다시 흘러가버릴 수 있다. 여러 유해가 같은 공간에 있을 경우 섞여버릴 수 있다. 세월호가 통째로 인양되면서 현장이 교란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걸 다시 세운다는 것은 찬성하기 힘들다.

 

 

최근 세월호에서 발견된 유골이 동물 뼈인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현장에 유해 관계 일을 아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다. 소위원회를 만들어서 한쪽은 선박 관계를 맡고 다른 한쪽은 전문가들을 통해 유해·유품들을 조사해야 한다.

 

 

해수부가 지난해부터 자문을 구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인양 얘기가 나왔을 때부터 차근차근 준비를 했으면 동물 뼈 해프닝도 없었을 것이다. 지난해 (미수습자에 대한) 얘기가 나왔을 때부터 지금까지 개인적으로 조사를 계속해 왔다. 해수부가 그동안 한 번도 (미수습자 수습과 관련해) 어떤 일을 요청한 적이 없다. 또한 유해발굴 전문가로서 발굴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감독하겠다고 해수부에 요구했다. 그런데 유해를 만질 수 있는 것은 해경이나 국과수 등 국가기관만 가능했다. 개인적인 신분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이번에 특별법이 통과되면서 전문가에게 위임위탁이 가능해져서 그나마 나아진 것이다.

 

 

정부가 세월호 인양과 관련한 모든 일을 주먹구구식으로 처리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7~8월에 같이 일하자고 했던 공무원들이 모두 다른 부서로 나갔다. 작년에 정부와 업무 협의를 할 때 일단 구두로 약속했었는데 접촉했던 공무원들을 찾아볼 수가 없다. 작업의 연계성이 없어지니까 답답하다. 선임자가 갖고 있던 노하우가 후임자에게 전해져야 하는데 그게 안 되고 있다. 인양 시기도 작년까지 한다고 했다가 또 올 4월에 한다고 발표하고는 갑자기 3월에 해 버렸다. 정부에서 하는 일이 모두 이런 식으로 진행되는 것 같다.

 

 

미수습자 수습 문제에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 각 부처에서 온 100여 명한테 흥분하지 말고 차분하게 진행하자고 당부하고 왔다. “유족들이 보면 섭섭할 정도로 냉정하게 하자. 한 치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각 부처 간에 경쟁을 하지 말고 전문가를 중심으로 서로 협력해야만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기회를 반면교사로 삼아서 재난 매뉴얼 등 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 한국 사회가 이런 시스템이 없어서 이런 일이 발생하면 우왕좌왕할 수밖에 없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