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 하면 ‘관광보복’하는 중국, 일본·대만은 어떻게 대응했나
  • 조유빈 기자 (you@sisapress.com)
  • 승인 2017.03.06 17: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관광수입 의존도 낮추고 동남아·한국 등 관광객 유치 노력

중국 정부가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한국 관광 금지령을 내렸다. 이 때문에 중국인들이 한국 관광 계획을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관광, 면세점, 여행, 백화점 등 관련 기업의 주가도 줄줄이 급락세를 타는 등 관광 산업이 총체적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관광객은 1720만명이다. 이중 중국인이 806만명으로 47%를 차지했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2명 중 한명이 중국인이라는 얘기다. 특히 대표 관광지인 제주도의 경우 중국인 관광객 비율이 80%로, 유커(游客, 중국인 관광객)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그나마 개인관광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었지만, 중국이 우리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여행사들에 한국·개인관광 상품 판매를 금지하고, 중국 내 반한감정도 확산되면서 개인관광 역시 확연히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과거 중국이 ‘관광 보복’을 가했던 일본이나 대만은 어떻게 이를 극복했을까.


일본, 비자 완화하고 면세점 늘려 


2012년 9월 일본이 중국과 영토분쟁을 벌였던 센카쿠 열도를 국유화하자 중국 정부는 일본 관광을 금지시켰다. 심지어 대규모 반일(反日) 시위를 열었고,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항공기와 호텔 예약도 무더기로 취소됐다. 2012년 10월 일본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6만9713명이었다. 전년 대비 34% 급감한 수치다.

그러나 일본은 냉정하게 대응했고, 변화를 꾀했다. 비자를 완화하고 면세점을 확대했다. 중국에 한했던 투자처도 동남아와 아프리카 등으로 확산시키면서 관광객의 범주를 늘렸다.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외국인 면세 절차를 줄여 면세 품목을 늘린 결과 한국인 관광객도 늘어났다. 다음 해인 2014년에는 오히려 중국 관광객이 83% 증가해 240만명을 넘어섰고, 이후 일본을 찾은 중국 관광객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는 사상 최대인 637만명을 기록했다.

대만 역시 중국의 ‘관광보복’을 받은 나라다. 독립 성향의 민진당 차이잉원 총통이 당선된 이후 양국의 관계가 얼어붙으면서 중국이 단행한 대만 관광 제한 조치였다.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하라'는 중국 정부의 압박이었다. 중국의 제재 이후 4개월 연속 대만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은 30%씩 줄었고, 지난해 10월 중국인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55%나 줄어들었다. 관광업계 종사자 2만명이 총통부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대만, 동남아 국가 등에 무비자 입국 확대


대만은 ‘다변화’로 중국의 보복을 이겨냈다. 중국 대륙 단체 관광객 대신 자유 개별 여행 관광객 유치에 집중했다. 15일로 제한된 중국인 개별 관광객 대만 체류 기간을 30일로 늘린 것이다. 또 중국이 아닌 다른 국가 관광객을 포섭했다. 동남아 국가 등에 무비자 입국을 확대해 새 시장을 개척한 것이 대표적이다. 특히 태국에 비자 면제 조치를 취하면서 태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어났다.

대만 관광시장의 큰 손이었던 일본을 겨냥한 항공사와 호텔 등의 판촉을 확대했고, 당시 tvN 예능프로그램 ‘꽃보다 할배’로 대만 여행에 관심이 높아진 한국 관광객 유치에도 힘썼다. 그 결과 지난해 1069만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대만을 방문했다. 중국인 관광객이 16.1% 감소했지만, 전체 관광객은 전년보다 2.4%가 늘어났다. 사상 최대 기록이었다.

일본과 대만이 중국의 ‘관광보복’을 이겨낸 방법은 다원화 전략이었다.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를 낮추는 전략을 펴 오히려 보복 조치 이전보다 더 큰 관광적 이익을 낼 수 있었던 이 같은 사례를 통해 우리 정부도 규제완화와 관광객 다변화 등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