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쑥날쑥’ 노무현 재산
  • 감명국 (kham@sisapress.com)
  • 승인 2009.04.28 14:5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검은 돈 포함하면 액수 제각각…검찰 추산은 1백80억원

▲ 보수단체 회원들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금품 수수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시사저널 임준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스스로 ‘도덕적 파산’ 선언을 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홍보수석을 지낸 조기숙 이화여대 교수는 검찰에서 제기하고 있는 금품 수수 의혹에 대해 ‘생계형 범죄’라는 표현을 썼다. “노 전 대통령이 얼마나 돈이 없었으면…”이라며 동정론에 호소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 공기업 임원을 지낸 ‘친노’ 세력의 한 인사는 “노 전 대통령은 돈이 너무 없었다. 그것은 틀림없다. 반면, 가진 것에 비해 꿈은 너무나도 컸다. 그래서 이런 불행이 생긴 것이다”라고 밝혔다.

노 전 대통령의 재산은 정확히 어느 정도일까. 그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은 두 가지 갈래로 나누어진다. 노 전 대통령측이 주장하는 재산과 검찰이 의심하는 추정 재산이 각각 다른 것이다.

대통령 퇴임 직후 마지막 재산 신고액은 9억7천여 만원

노 전 대통령측이 주장하는 재산은 그가 스스로 밝힌 신고 내용을 들여다보면 된다. 노 전 대통령은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03년 3월 2억5백여 만원을 신고했다. 이듬해 청와대에서 일부 실수를 인정하며 다시 정정한 금액은 4억7천만원이었다. 그리고 지난해 3월 퇴임 직후 마지막 재산 신고에서는 총액이 9억7천2백여 만원이었다. 5년 재임 기간 동안 5억원이 늘어난 셈이다. 노 전 대통령이 재임 기간 동안 받은 연봉은 각종 보조비 등을 모두 합쳐 2억2백여 만원이었다. 즉, 매년 1억원 정도를 쓰고, 나머지 1억원 정도는 예금한 셈이다. 이 내역만 보아서는 누구에게 부정한 돈을 받거나 투기를 하지도 않은, 아주 전형적인 모범 사례라고 할 만하다.

현재 노 전 대통령의 재산은 크게 부동산과 예금으로 구성된다. 기타 콘도 회원권과 자동차 등까지 모두 신고를 했지만 미미한 수준이다. 노 전 대통령은 김해 봉하마을 사저를 10억6천100여 만원으로 신고했다. 토지 가격이 1억8천여 만원에 신축 중도금이 8억8천여 만원으로, 이 둘을 합친 금액이다. 임야는 미미한 수준이다. 1천3백여 만원으로 신고되었다.

예금은 노 전 대통령이 4천2백여 만원, 부인 권양숙 여사가 1억4천5백여 만원, 장남 건호씨가 5천8백여 만원, 손녀가 2천7백여 만원으로 총 2억7천3백여 만원이다. 빚은 4억6천7백만원이 있다. 사저 공사비로 쓰기 위해 은행 대출을 받은 것이다. 그래서 총액이 9억7천2백여 만원이 된다.

검찰은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이 노 전 대통령 일가에게 건넨 돈이 2006년 8월의 3억원, 2007년 6월의 100만 달러, 그리고 퇴임 직후인 2008년 3월의 5백만 달러 등으로 보고 있다. 역시 같은 시기에 노 전 대통령은 박회장으로부터 15억원을 빌린 것으로 밝혀졌다. 이 돈의 성격에 대해 노 전 대통령측은 “15억원은 사저 공사 비용으로 쓰기 위해 차용증을 쓰고 빌린 것이고, 권양숙 여사가 받은 3억원과 100만 달러는 빚을 갚기 위한 것이다”라고 밝혔다. 노건호씨와 조카사위 연철호씨 등에게 유입된 것으로 알려진 5백만 달러에 대해서는 관련이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 

사저 신고 가격은 10억6천인데 공사 비용은 20억원

▲ 봉하마을. ⓒ연합뉴스

여기서 한 가지 주목해볼 것이 있다. 노 전 대통령에게 유입된 ‘검은 돈’의 용도가 대부분 사저 건축 비용으로 소개되고 있는 점이다. 노 전 대통령의 재산 신고 내역을 다시 들여다보면, 예금 가운데 약 3억4천8백만원이 공사비로 사용되었고, 은행 대출로 4억6천7백만원을 쓴 것으로 신고되었다. 합하면 약 8억1천5백만원이 된다. 신축 중도금으로 신고한 8억8천여 만원과 얼추 비슷하다. 그런데 노 전 대통령은 사저 공사비로 실제 20억원을 신고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해시측에 따르면, 순수 공사비가 약 17억여 원, 토지 용도변경 등에 들어간 비용이 약 2억여 원이 된다고 한다.

따라서 나머지 약 11억원이 조금 넘는 돈을 어떻게 마련했을까 하는 점이 의문으로 남아 있다. 노 전 대통령이 예금으로 보유하고 있던 돈도 2억7천여 만원에 불과했다. 따라서 노 전 대통령이 박회장으로부터 정식으로 빌렸다고 주장하는 15억원과 강회장이 ㈜봉화에 투자한 70억원 가운데 일부 돈이 사저 건축비로 사용된 정황은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그중의 일부에 불과했을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차명계좌에 15억원 가까운 돈을 관리하고 있다는 점도 검찰은 주목하고 있다. 사실상의 노 전 대통령 비자금으로 의심하고 있다.

현재 노 전 대통령의 사저 공시지가는 6억5백만원으로 책정되었다고 알려졌다. 이에 대해 차명진 한나라당 의원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현지 땅의 시가만 해도 6억원인데 공시지가가 6억5백만원이라는 것은 터무니없다”라고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차의원의 의혹 제기에 다소 과장이 섞여 있다 하더라도 땅의 현지 시세와 사저 건축비 등을 감안할 때 20억원은 호가할 것이라는 얘기가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현재 봉하마을이 세운 사업체는 ㈜봉하마을과 ㈜봉화 등 2개이다. ㈜봉화는 강회장이 설립했고, ㈜봉하마을은 영농법인으로 청와대 비서관 출신인 김정호씨가 대표이사로 있다. 노 전 대통령도 여기에 이사로 등재되어 있다. 지난해 10월 자본금 1억원으로 봉하마을 사저를 주소지로 해서 설립했다.

이처럼 검찰이 의심하고 있는, 봉하마을 주변을 맴도는 돈은 어림잡아 추산해도 1백80억원대에 이른다. 하지만 이를 노 전 대통령의 재산으로 묶기에는 무리수가 뒤따른다는 얘기는 검찰 주변에서도 제기된다. 비록 도덕적 파산을 선언한 노 전 대통령이지만, “현재 가진 것은 봉하마을 사저가 전부이다”라는 것이, 봉하마을이 마지노선으로 삼는 도덕성의 최후의 보루인 셈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