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 ‘어린이 펀드’로 챙겨라
  • 이상건(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수석연구원) ()
  • 승인 2006.12.08 12:2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초가 튼튼한 재테크

 
 얼마 전 한 일간지에서 우리나라의 40~50대를 대상으로 노후 생활에 관해 설문 조사를 해 발표한 적이 있다. ‘노후자금 준비시 가장 큰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3%가 자녀 양육비라고 대답했다. 물론 자녀 양육비의 대부분은 교육비가 차지할 것이다. 

사실 투자의 관점에서 보면, 교육만큼 뛰어난 투자도 없다. 자녀들이 좋은 교육을 받고 좋은 직장에 들어가 그동안 들어갔던 교육비보다 더 높은 소득을 창출한다면 더할 나위 없는 결과가 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교육비가 노후 생활과 서로 상충된다는 점이다. 일부 자산관리 전문가들은 교육비를 줄이고, 노후 생활을 우선 순위에 두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교육비냐 노후 생활이냐는 각 개인의 가치관 문제일 뿐이다. 교육비와 노후 생활의 상충을 막는 유일한 길은 교육비 마련을 일찍 하는 것 외에 달리 길이 있을 수 없다. 

우리나라 부모들이 과거 자녀 교육비 마련의 수단으로 활용했던 상품이 바로 ‘교육보험’이었다. 그런데 왜 몇 년 전부터 교육보험은 금융 소비자들로부터 철저히 외면받고 도태되었을까. 원래 교육보험은 부모 유고시에 자녀 학자금을 보장해주는 상품이었다. 그런데 일부 생명보험사에서 이 상품을 자녀 학자금을 마련하는 저축상품으로 판매했다. 결국 시간이 흘러 정작 자녀가 대학에 들어갈 때 받는 돈은, 4년 등록금은 고사하고, 한 학기 등록금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그것은 교육비 상승률이 교육보험이 제공하는 금리보다 더 높았기 때문이다. 최근 통계를 보더라도 교육비 상승률은 어떤 확정금리형 상품이나 일반 물가상승률보다도 높은 편이다. 2001년~2005년 5년 동안 전국 사립대학의 평균 등록금 인상률은 6.1%였다. 여기에 그 동안의 사교육비 등을 감안하면, 일반이 체감하는 교육비 상승률은 아마도 10%가 훌쩍 넘어설 것이다. 

우리가 옛 교육보험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자녀 교육비를 마련하는 상품을 선택할 때는 물가상승률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느냐가 제1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교육보험과 더불어 금융기관에만 좋았던 대표적인 상품이 예전에 한 시중은행에서 판매했던 ‘차세대 종합통장’이라는 상품이다. 지금까지도 이 상품을 갖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필자가 강의를 할 때마다 주부들을 대상으로 질문을 던지면 대부분은 중도에 해약을 했다고 대답한다. 그러면 어떤 상품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까. 

소액으로 장기간에 걸쳐 자녀 교육비를 준비할 수 있는 상품 중 하나가 ‘어린이 펀드’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어린이 펀드를 통해 자녀의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다. 이런 펀드를 보통 ‘칠드런 펀드(Children Fund)' '영 인베스터 펀드(Young Investor Fund)'라고 한다. 영국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CTF(Child Trust Fund) 제도를 도입하기도 했다. 2002년 9월 이후 출생한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 대해 우리나라 돈으로 50만원 정도를 CTF에 넣어주는 제도이다. 

어린이 펀드의 장점은 5만원 안팎의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고, 만기 없이 장기간에 걸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자녀들에게 금융 교육의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세뱃돈이나 친척들로부터 용돈을 받으면, 이 돈을 어린이 펀드에 추가 불입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아이들은 자신의 돈이 어떻게 투자되는지, 그리고 자산이 어떻게 불어나는지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사람들은 망각의 동물이다. 망각을 할 수 없었다면 인간은 지금보다 더욱 불행해졌을 것이다. 하지만 투자의 세계에서 망각은 또 다른 실패를 잉태한다. 그래서 우리는 과거 교육보험과 차세대 종합통장이 왜 금융기관에만 유리했던 상품이었는지를 똑똑히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